3. 데이터베이스 구축 -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정규화와 반정규화)

도서 개발 공부/정보 처리 기사 필기 2022. 4. 5. 19:08

87. 정규화 (Normalization) : 잘못 설계된 릴레이션 스키마(관계형 스키마)를 더 작은 속성 집합으로 분해하여 바람직한 형태의 스키마로 변환하는 것 릴레이션 내 속성들 간의 종속성(dependency)를 분석하여 하나의 릴레이션은 하나의 종속성만 표현하도록 분해한다. 하나의 릴레이션이 여러 상이한 정보를 표현하여 많은 종속성을 가지게 되면 릴레이션 처리에 이상(anomaly)가 발생하고 정규화의 목적은 이상의 발생을 막는 것이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한다. 정규화는 논리적 처리와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장점 정규화된 데이터 모델은 일관성, 정확성, 단순성, 안정성 등을 보장한다 졍규화 수준이 높을수록 유연한 데이터 구축이 가능하고 데이터의 정확성이 증가한다. 단..

Article Thumbnail
3. 데이터베이스 구축 -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

도서 개발 공부/정보 처리 기사 필기 2022. 4. 5. 16:55

86-1. 관계 대수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유도 방법을 기술하는 절차적인 언어 관계 대수는 릴레이션을 처리하기 위한 연산자와 연산 규칙을 제공하는 언어이다. 폐쇄 성질 (Closure property) : 관계 대수의 피연산자는 릴레이션이며 연산 결과도 릴레이션이다. 절차적 언어 : 질의에 대한 해를 구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연산의 순서를 명시한다. 순수 관계 연산자와 일반 집합 연산자로 나뉜다. 1) 일반 집합 연산자 (Set Operations) : 수학의 집합 이론에서 사용되는 연산. 릴레이션 역시 튜플의 집합이므로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 집합 연산자 중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의 경우 두 릴레이션이 서로 합병 가능해야 연산이 가능하다. ※ 합병 조건 (Union-c..

Article Thumbnail
3. 데이터베이스 구축 -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카탈로그)

도서 개발 공부/정보 처리 기사 필기 2022. 4. 4. 17:27

8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개체와 관계를 모두 릴레이션(표, table)의 형태로 표현하는 방식의 데이터베이스 1970년 IBM의 E. F. Codd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개체 릴레이션 : 개체를 표현하는 릴레이션 관계 릴레이션 : 관계를 표현하는 릴레이션 장단점 장점 : 뛰어난 간결성, 타 데이터베이스로 변환이 용이 단점 : 성능이 다소 떨어짐 1) 릴레이션 : 데이터를 표의 형태로 표현한 것. 구조를 나타내는 릴레이션 스키마와 실제 값들인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된다. - 릴레이션의 구조 릴레이션 스키마 : 한 개의 릴레이션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 릴레이션의 이름과 구성 속성들의 집합 릴레이션 인스턴스 :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

Article Thumbnail
3. 데이터베이스 구축 - 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데이터베이스 설계 ~ 관계형 데이터 모델)

도서 개발 공부/정보 처리 기사 필기 2022. 4. 3. 21:57

1. 데이터베이스 설계 : 사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에 맞게 변형한 후 특정 DBMS로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는 것 1)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사항 무결성 : 삽입, 삭제, 갱신 등의 연산 후에도 데이터베이스 내 데이터들은 정해진 제약조건을 항상 만족해야 한다. 일관성 : 데이터베이스 내 데이터들 사이나, 질의에 대한 응답은 항상 일정해야 한다. 회복 : 시스템 장애 발생 시 발생 직전의 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야 한다. 보안 : 불법적인 데이터의 노출이나 변경, 손실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효율성 : 응답 시간 단축, 생산성 향상, 저장 공간 최적화 등이 가능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 확장 : 운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지속적인 데이터 추가가 가능해야 한다. 2) 데이터베..

Article Thumbnail
2. 소프트웨어 개발 - 인터페이스 구현(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오류 확인 및 처리 보고서 작성)

도서 개발 공부/정보 처리 기사 필기 2022. 4. 3. 18:43

70.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기능상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절차 -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방법 1.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JSON, XML 등의 인터페이스 객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발생 가능한 예외 케이스를 정의하고 예외 처리 방법을 기술함 인터페이스 객체의 송신/수신 시 예외가 발생할 수 있음 시스템 환경, 송신/수신 데이터, 프로그램 자체 원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예외 상황이 발생 2.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동작 실패를 대비하여 인터페이스의 실패 상황과 원인 등을 기록하고,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 조치를 취하도록 예외 처리 방법을 정의함 71. 인..

Article Thumbn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