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지도를 조금씩 밝혀나가는 데에서 즐거움을 느낀다면
: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기능상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절차
-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방법
1.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JSON, XML 등의 인터페이스 객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발생 가능한 예외 케이스를 정의하고 예외 처리 방법을 기술함
인터페이스 객체 송신/수신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예시
2.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동작 실패를 대비하여 인터페이스의 실패 상황과 원인 등을 기록하고,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 조치를 취하도록 예외 처리 방법을 정의함
송신/수신 인터페이스 테이블을 이용 실패 시 예외 처리 방안 예시
- 인터페이스 보안 취약점 분석
: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되는 각 구간의 구현 현황과 각 구간별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는 것
- 영역별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
※ 스니핑 :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 중의 하나. 수동적 공격에 해당함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에 존재 가능한 보안 취약점의 발견과 제거, 보안을 고려한 기능 설계 및 구현 등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 (Secure Coding)
: 시스템 파일의 변경 유무를 확인하고 파일이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도구
: 구축된 연계 시스템과 연계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활동
: 연계 시스템 간 데이터 및 프로세스 흐름을 분석하여 필요한 테스트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
: 테스트를 수행할 환경을 송신/수신 기관과 협의하여 결정하는 과정
: 연계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계 테스트 케이스의 시험 항목과 처리 절차 등을 실제로 진행하는 단계
: 연계 테스트 케이스를 수행한 결과가 예상 결과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와 감시 도구를 이용해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문제없이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 인터페이스 단위 기능과 시나리오 등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테스트에 대한 자동화를 지원하는 도구
-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도구
: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도구(APM)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조회 및 분석
※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도구(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Monitoring)
: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관리를 위해 다양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도구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및 감시 절차
1.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감시 도구 선택
2.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확인
3.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확인
- 인터페이스 오류 확인 방법
1. 발생 즉시 확인
: 인터페이스 오류 발생 시 화면에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고 SMS, 이메일 등으로 알려 즉시 확인이 가능
2. 주기적 확인
: 시스템 로그, 인터페이스 오류 관련 테이블 등을 통해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
: 인터페이스 작동 시 발생하는 오류의 발생 및 종료 시점, 원인과 증상, 처리사항 등을 정리한 문서
2. 소프트웨어 개발 - 인터페이스 구현(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오류 확인 및 처리 보고서 작성)
70.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기능상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절차
-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방법
1.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JSON, XML 등의 인터페이스 객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동작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발생 가능한 예외 케이스를 정의하고 예외 처리 방법을 기술함
2. 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예외 처리
: 인터페이스 동작 실패를 대비하여 인터페이스의 실패 상황과 원인 등을 기록하고,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이를 알려 조치를 취하도록 예외 처리 방법을 정의함
71. 인터페이스 보안
1) 인터페이스 보안
- 인터페이스 보안 취약점 분석
: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되는 각 구간의 구현 현황과 각 구간별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는 것
- 영역별 인터페이스 보안 기능 적용
※ 스니핑 :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 유형 중의 하나. 수동적 공격에 해당함
※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 애플리케이션 소스 코드에 존재 가능한 보안 취약점의 발견과 제거, 보안을 고려한 기능 설계 및 구현 등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지켜야 할 일련의 보안 활동 (Secure Coding)
2) 데이터 무결성 검사 도구
: 시스템 파일의 변경 유무를 확인하고 파일이 변경되었을 경우 이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도구
72. 연계 테스트
: 구축된 연계 시스템과 연계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하는 활동
케이스 작성
환경 구축
수행 결과 검증
1) 연계 테스트 케이스 작성
: 연계 시스템 간 데이터 및 프로세스 흐름을 분석하여 필요한 테스트 항목을 도출하는 과정
2) 연계 테스트 환경 구축
: 테스트를 수행할 환경을 송신/수신 기관과 협의하여 결정하는 과정
3) 연계 테스트 수행
: 연계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계 테스트 케이스의 시험 항목과 처리 절차 등을 실제로 진행하는 단계
4) 연계 테스트 수행 결과 검증
: 연계 테스트 케이스를 수행한 결과가 예상 결과와 동일한지 확인하는 단계
73.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와 감시 도구를 이용해 인터페이스가 정상적으로 문제없이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 인터페이스 단위 기능과 시나리오 등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테스트에 대한 자동화를 지원하는 도구
-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도구
: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도구(APM)을 이용하여 인터페이스의 동작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조회 및 분석
※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도구(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Monitoring)
: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관리를 위해 다양한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도구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및 감시 절차
1.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감시 도구 선택
2.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확인
3. 인터페이스 구현 감시 확인
74. 인터페이스 오류 확인 및 처리 보고서 작성
1) 인터페이스 오류
- 인터페이스 오류 확인 방법
1. 발생 즉시 확인
: 인터페이스 오류 발생 시 화면에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고 SMS, 이메일 등으로 알려 즉시 확인이 가능
2. 주기적 확인
: 시스템 로그, 인터페이스 오류 관련 테이블 등을 통해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오류 발생 여부를 확인
2) 인터페이스 오류 처리 보고서
: 인터페이스 작동 시 발생하는 오류의 발생 및 종료 시점, 원인과 증상, 처리사항 등을 정리한 문서
'도서 개발 공부 > 정보 처리 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