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두운 지도를 조금씩 밝혀나가는 데에서 즐거움을 느낀다면
: 4차 산업 혁명 시기의 새로운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시행되는 정부 주관 사업
-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E, SDx; Software-Defined Everything)
: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등에서 소유한 자원을 가상화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기술
: IT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서비스 기반 기술
- IoT 관련 용어
: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
-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용어
- 모바일 컴퓨팅 (Mobile Computing) : 휴대 기기로 이동하며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 NDN (Named Data Networking) : 컨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차세대 통신망 (NGN; Next Generation Network) : ITU-T에서 개발하는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 All-IP : 유선 전화망, 무선 망, 패킷 데이터 망 등의 기존의 모든 통신망을 IP 기반 망으로 통합한 네트워크
-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 웨어러블이나 이식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
- 지리 정보 시스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출력하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
- Ad-hoc Network : 별도의 고정된 유선 망을 구출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만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 :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각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술
- 파장 분할 다중화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서로 다른 여러 신호를 전송하여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개방형 링크드 데이터 (LOD, Linked Open Data)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웹 상에 공개된 연계 데이터
- SSO (Single Sign-On) : 한 번의 로그인으로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하게 해주는 시스템
- Smart Grid : 정보 기술을 전력에 접목하여 효율성을 높인 시스템 (전력 IT)
: 통신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공간적으로 배치하는 방법
1. 성형 (Star, 중앙 집중형)
: 중앙 컴퓨터를 중심으로 여러 단말 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 방식의 네트워크 구성
2. 링형 (Ring, 루프형)
: 컴퓨터와 단말 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Point-to-Point로 연결해 만든 고리 형태의 네트워크 구성
3. 버스형 (Bus)
: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조
4. 계층형 (Tree, 분산형)
: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 장치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고, 이웃하는 단말장치는 일정 지역 내 중간 단말 장치로부터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5. 망형 (Mesh)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 장치를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 구조
-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자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광대역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 멀리 떨어진 사이트들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네트워크
※ VLAN (Virtual LAN)
: 접속된 장비들의 성능 및 보안성 향상을 위해 LAN의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분리하는 기술
1. IEEE 802의 주요 표준 규격
2. 802.11의 버전
※ CSMA/CD & CSMA/CA
: LAN과 LAN을 연결해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 프레임 전달 방식에 따른 스위칭 방식 분류
- OSI 계층에 따른 스위치 분류
: 여러 네트워크 간 연결 시 중추적 역할을 하는 백본 네트워크에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장비
: 액세스, 디스트리뷰션, 코어의 세 계층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델
- 액세스 계층 (Access Layer)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최초로 연결되는 지점
- 디스트리뷰션 계층 (Distribution Layer) : 액세스 계층의 장치들이 연결되는 지점
- 코어 계층 (Core Layer) : 디스트리뷰션 계층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계층
: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
- 경로 제어 프로토콜 (Routing Protocol)
: 효율적인 경로 제어를 위해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 교환, 제어하는 프로토콜
1.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IGP; Internal Gateway Protocol)
: 하나의 자율 시스템 (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홉 (Hop)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거치는 네트워크 수
2.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EGP; External Gateway Protocol)
: 자율 시스템 간,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3.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EGP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자율 시스템 간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네트워크 보호, 성능 유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과 양을 조절하는 기능
1. 흐름 제어 (Flow Control)
: 네트워크 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
2. 폭주 제어 (Congestion Control. 혼잡 제어)
: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를 조절하여 네트워크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기능
3. 교착 상태 (Dead Lock) 방지
: 교환기 내에 패킷을 저장하는 기억 공간이 꽉 차서 다음 패킷들이 기억 공간에 들어가기 위해 무한히 기다리는 현상(교착 상태)를 방지하는 기능
5.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 - IT 프로젝트 정보 시스템 구축 관리(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경로 제어/트래픽 제어)
176.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1) 지능형 초연결망
: 4차 산업 혁명 시기의 새로운 변화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시행되는 정부 주관 사업
-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SDE, SDx; Software-Defined Everything)
: 네트워크, 데이터 센터 등에서 소유한 자원을 가상화하여 개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중앙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기술
2) IoT(Internet on Things, 사물 인터넷)
: IT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서비스 기반 기술
- IoT 관련 용어
3)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
-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용어
4)기타 용어
- 모바일 컴퓨팅 (Mobile Computing) : 휴대 기기로 이동하며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
- NDN (Named Data Networking) : 컨텐츠 자체의 정보와 라우터 기능만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
- 차세대 통신망 (NGN; Next Generation Network) : ITU-T에서 개발하는 유선망 기반의 차세대 통신망
- All-IP : 유선 전화망, 무선 망, 패킷 데이터 망 등의 기존의 모든 통신망을 IP 기반 망으로 통합한 네트워크
-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 웨어러블이나 이식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
- 지리 정보 시스템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지리 자료를 수집, 저장, 분석, 출력하는 컴퓨터 응용 시스템
- Ad-hoc Network : 별도의 고정된 유선 망을 구출할 수 없는 장소에서 모바일 호스트만으로 구성한 네트워크
-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 :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를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하여 각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술
- 파장 분할 다중화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 서로 다른 여러 신호를 전송하여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개방형 링크드 데이터 (LOD, Linked Open Data) :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웹 상에 공개된 연계 데이터
- SSO (Single Sign-On) : 한 번의 로그인으로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하게 해주는 시스템
- Smart Grid : 정보 기술을 전력에 접목하여 효율성을 높인 시스템 (전력 IT)
177. 네트워크 설치 구조
: 통신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공간적으로 배치하는 방법
1) 네트워크 구조의 종류
1. 성형 (Star, 중앙 집중형)
: 중앙 컴퓨터를 중심으로 여러 단말 장치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 방식의 네트워크 구성
2. 링형 (Ring, 루프형)
: 컴퓨터와 단말 장치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Point-to-Point로 연결해 만든 고리 형태의 네트워크 구성
3. 버스형 (Bus)
: 하나의 통신 회선에 여러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구조
4. 계층형 (Tree, 분산형)
:중앙 컴퓨터와 일정 지역의 단말 장치까지는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고, 이웃하는 단말장치는 일정 지역 내 중간 단말 장치로부터 연결하는 네트워크 구조
5. 망형 (Mesh)
: 모든 지점의 컴퓨터와 단말 장치를 서로 연결한 네트워크 구조
2) 지리적 범위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 근거리 통신망 (LAN; Local Area Network) :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자원을 연결하는 네트워크
- 광대역 통신망 (WAN; Wide Area Network) : 멀리 떨어진 사이트들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네트워크
※ VLAN (Virtual LAN)
: 접속된 장비들의 성능 및 보안성 향상을 위해 LAN의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분리하는 기술
3) LAN 표준
1. IEEE 802의 주요 표준 규격
2. 802.11의 버전
※ CSMA/CD & CSMA/CA
178. 스위치
: LAN과 LAN을 연결해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
- 프레임 전달 방식에 따른 스위칭 방식 분류
- OSI 계층에 따른 스위치 분류
1) 백본 스위치 (Backbone Switch)
: 여러 네트워크 간 연결 시 중추적 역할을 하는 백본 네트워크에서 스위칭 역할을 하는 장비
2) Hierarchical 3 Layer 모델
: 액세스, 디스트리뷰션, 코어의 세 계층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델
- 액세스 계층 (Access Layer) :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최초로 연결되는 지점
- 디스트리뷰션 계층 (Distribution Layer) : 액세스 계층의 장치들이 연결되는 지점
- 코어 계층 (Core Layer) : 디스트리뷰션 계층에서 오는 통신을 집약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계층
179. 경로 제어 / 트래픽 제어
1) 경로 제어 (Routing)
: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
- 경로 제어 프로토콜 (Routing Protocol)
: 효율적인 경로 제어를 위해 네트워크 정보를 생성, 교환, 제어하는 프로토콜
1.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IGP; Internal Gateway Protocol)
: 하나의 자율 시스템 (AS)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홉 (Hop)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거치는 네트워크 수
2.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EGP; External Gateway Protocol)
: 자율 시스템 간,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3.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EGP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자율 시스템 간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2) 트래픽 제어 (Traffic Control)
: 네트워크 보호, 성능 유지,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과 양을 조절하는 기능
1. 흐름 제어 (Flow Control)
: 네트워크 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에 전송되는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하는 기능
2. 폭주 제어 (Congestion Control. 혼잡 제어)
: 네트워크 내의 패킷 수를 조절하여 네트워크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기능
3. 교착 상태 (Dead Lock) 방지
: 교환기 내에 패킷을 저장하는 기억 공간이 꽉 차서 다음 패킷들이 기억 공간에 들어가기 위해 무한히 기다리는 현상(교착 상태)를 방지하는 기능
'도서 개발 공부 > 정보 처리 기사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